자격증/네트워크 관리사, CCNA
네트워크 공부 5일차 (2022년 2월 4일)
Pink
2022. 2. 5. 16:16
3장 WAN과 IP 라우팅의 기초
1) 이더넷 WAN
전용 회선 방식과의 차이점 : CO(Central Office) -> PoP(Point of Presence), 전화 회사의 스위치 -> 이더넷 스위치
2) 내부 라우팅의 4단계
- 데이터 링크 FCS 필드로 오류 유무 확인, 있으면 프레임을 폐기.
- 1단계에서 프레임이 살아남았다면 데이터 링크 헤더와 트레일러를 폐기, IP 패킷만 추출.
- IP 패킷의 수신자 IP 주소를 라우팅 테이블과 대조, 최적의 경로를 결정. 여기서 향하는 경로의 특성(과 다음에 들를 라우터의 IP 주소를 확인).
- IP 패킷을 새 데이터 링크 헤더와 트레일러로 캡슐화, 향하는 경로의 인터페이스에 맞게 조정 후 포워딩
3) 외부 라우팅의 4단계
- PC1이 패킷을 기본 라우터(게이트웨이)로 전송.
- R1이 도착한 프레임을 처리 후 R2로 패킷을 포워딩.
- R2가 도착한 프레임을 처리 후 R3로 패킷을 포워딩.
- R3가 도착한 프레임을 처리 후 PC2로 패킷을 포워딩.
4) IP 서브넷팅 규칙
- 라우터 없이 직접 연결된 두 호스트의 IP 주소는 같은 그룹(서브넷)으로.
- 라우터를 사이에 두고 연결된 두 호스트의 IP 주소는 다른 그룹(서브넷)으로.
5) 동적 라우팅의 원리
- 각 라우터는 라우팅 프로토콜과는 무관하게 자신과 직접 연결된 서브넷에 대한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추가.
- 각 라우터의 프로토콜은 이웃한 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된 경로를 공유(직접 연결된 경로와 다른 라우터를 통해 학습한 경로도 포함).
- 이웃한 라우터에게 새 경로를 학습한 뒤, 라우터의 프로토콜은 그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(보통 해당 경로의 다음 라우터는 경로를 공유한 바로 그 라우터임).
6) 동적 라우팅의 예시
동적 라우팅의 6단계
- 라우터 R3와 연결된 서브넷 150.150.4.0 존재.
- R3는 연결된 경로 150.150.4.0을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.
- R3는 R2에게 라우팅 업데이트라는 라우팅 프로토콜 메시지를 전송, R2에게 서브넷 150.150.4.0을 홍보.
- R2는 서브넷 150.150.4.0에 대한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.
- R2가 R1에게~
- R1은 서브넷 150.150.4.0에 대한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. 그 경로는 R1의 시리얼0을 외부 인터페이스로 하며 R2의 IP 주소를 다음 라우터의 그것으로 등록.
7) DNS의 목적과 원리
목적 : 사람을 위한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를 위한 IP 주소로 변환하는 것
8) ARP의 목적과 원리
목적 : IP 주소밖에 모르는 이웃한 호스트나 라우터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것